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 납부 총정리

by 머니어스2 2024. 7. 14.
반응형

운전자들이 가장 흔하게 범하는 불법이 주차위반 과태료가 아닐까 합니다.

수도권이나 지방 도시를 운전하다 보면 땅은 좁고 주차면은 많지 않아서 부득이하게 주차위반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을 통해 주차위반 과태료를 조회하는 방법과 납부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가실 수 있습니다.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

 

 주차위반 과태료 금액

위반내용 차종 과태료 자진납부시
(20% 감경)
가산금
(3%)
중가산금
(매월1.2%)
최대가산금
(최고 60개월)
일반지역 승용차 40,000원 32,000원 1,200원 매월 480원 최대 70,000원
승합차 50,000원 40,000원 1,500원 매월 600원 최대 87,500원
노인보호
소방시설 부근
승용차 80,000원 64,000원 2,400원 매월 960원 최대 140,000원
승합차 90,000원 72,000원 2,700원 매월 1,080원 최대 157,500원
어린이
보호구역
승용차 120,000원 96,000원 3,600원 매월 1,440원 최대 210,000원
승합차 130,000원 104,000원 3,900원 매월 1,560원 최대 227,500원

위반 지역에 따라 동일하게 주차위반을 했더라도 과태료의 차이가 최대 3배까지 납니다.

혹시나 어쩔 수 없이 주차위반을 하게 되더라도 노인보호시설 / 소방시설부근 / 어린이 보호구역은 피해 주시는게 좋습니다.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납부하기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는 서울시와 그 외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는 워낙 크기 때문에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가 별도로 존재합니다.

과태료 조회 방법은 아래 빨간 버튼을 눌러 각각의 사이트에 접속하여 차량번호를 입력한 후 검색하여 과태료 내역을 확인한 후 납부를 진행하면 됩니다.

과태료 납부기간 전에 자신 납부하면 20%를 강경 받을 수 있으니 명백하게 주차위반이 맞다면 빠르게 납부하여 과태료 금액을 줄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서울시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

 

 

▶ 전국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

 

 

 

 주정차 금지 구역 기억하기

▶ 흰색 실선

주차와 정차가 가능합니다.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

 

▶ 노란색 점선

주차는 금지되고 정차는 가능합니다. (하지만 주차가 탄력적으로 허용되기도 합니다)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

 

▶ 노란색 실선

주차와 정차 모두 금지입니다. (하지만 주차가 탄력적으로 허용되기도 합니다)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

 

▶ 노란색 2 중선

주차와 정차 모두 절대 금지입니다.

주차위반 과태료 조회

 

주차와 정차가 절대 금지되는 시설물

  • 횡단보도 / 교차로 / 건널목 10m 이내
  • 버스정류장 10m 이내
  • 소화전 5m 이내

 

 

 

 과태료와 범칙금의 차이

 

  과태료

과태료는 신호위반, 과속 등으로 단속카메라에 적발됐을 때 운전자를 확인할 수 없으니 벌점은 없고 차량 소유주에게 고지서만 발송합니다.

 

▶ 범칙금

범칙금은 불법유턴, 안전벨트 미착용, 신호위반 등 위반 당시 경찰이 현장에서 차량 운전자에게 부과하는 것이라 벌점도 있습니다.

반응형